카테고리 없음 2011. 2. 26. 20:51
그렇게 놀고, 비시즌에 141km/h까지 찍는 거 보면. 타고난 재능은 진짜 무시 못하는구나








결혼도 했고.. 더 좋은 피칭이 기대된다












악마의재능..언더가 6년을 쉬엇는데 어떻게 6년의공백이잇는데 130이 나오고 결국 140끌어올렷네요;;





미국 독립리그에서도 활동했었고...공은 손에서 안 떠난 듯..








성공 가능성은 엄청 낮음

140km면 언더핸드 치고 느린공은 아니지만 김병현 옛날 스타일이 속구파라 변화구가 슬라이더 계열 구질로 알고있는데 공저정도면 발릴텐데.... 워낙 옜날이라 달라졋을수도 있을테지만 명품 싱커 나 커브 없으면 고전할듯.
















언더치고 140이면 느린공은 아니라가 아니라 빠른공이다..임창용이 150 넘게 찍으니까 그게 언더에서 나오는건줄 아냐? 사이드나 빠른 패스트볼 던질때는 쓰리쿼터까지 팔이 올라가거든? 반면 김병현은 완연한 언더투수다. 게다가 지금 시즌전, 첫 실전피칭인걸 보면 시즌에는 145는 충분히 나오고 언더가 그정도면 존나 빠른거임..














성공 가능성 낮은건 사실입니다. 몇 년을 쉰 선수가 감 잡기가 쉬운 줄 압니까? 외전된 이야기입니다만 천재타자 강혁도 아마에서만 뛰다가 감 잃어서 프로 와서 꽃도 제대로 못 피고 쓸쓸히 은퇴했죠. 김병현 선수 또 한 이번 시즌은 재기를 위한 시즌이지 성적을 내기 위한 시즌은 아니다라고 했었고요. 솔직히 이번 시즌 성적을 기대하는 건 무립니다. 어느 정도 구위를 회복하는가 선수들과 통하는가가 문제이지요.
















ㄴ최소한 언플은 안하지. 박찬호 이승엽 언플질하는거 매번 기사 오를때마다 이젠 짜증난다. 그냥 열심히 하겠다 이 한마디로 끝내면 되지 뭐 그리 말이 많아













원래 구속은 별로였다


전성기때도 144~148정도의 패스트볼과 가끔가다 나오는 150이상의 패스트볼 또한 슬라이더로 상대를 잡았지 구속으로 상대를 잡던 투수는 아니었다 엄밀히 따지면 구속이 아닌 구위로 싸운투수였다















 
 
http://www.fangraphs.com/statss.aspx?playerid=61&position=P --- 김병현 mlb시절 평균구속임 89.7마일이네요.. kkkf님은 90마일이 144-145인걸 모르고 하시는말씀? 저는 평균90마일찍었다고 햇는데... 김병현 절대까는게 아니라..사람들이 걍 오버해서 환상화시키는게 안타까워서댓글적은거임...김병현은 구속도구속이지만 공끝이 환상이었음...















답답한 소리들 하네. 부상당하기 직전까지 같은 FB이라도 하체가 동반되서 공의 위력이 좋아서 위력적인 볼이였고 부상이후에 폼이 망가진후 상체 위주 피칭이 되어 공의 위력이 나빠졌으니 나중에 망했던건데. 왕년에 드립은 그만하자. 그리고, 내 기억에 병현이 최고구속이 93이였나 94마일로 기억한다. 마무리 시절 경기화면에 나오는 직구구속은 거의 91~93정도 나왔고, 김병현 직구가 임창용보다도 구속은 적게 나왔어도 MLB스카우터들은 김병현 직구를 임창용보다 위력적으로 봤기 때문에 김병현은 MLB갔고 임창용은 최전성기 시절에도 못갔던거야.















평균구속이 89.7마일이었는데 90마일넘는공이 거의 없었다는 소리는 뭐지? 불펜은 평균구속하고 최고구속하고 보통 4~5km차이 나거든. 김병현이 최고구속 94마일이었고 그러니 90~92마일은 계속 찍어줬던게 김병현. 김병현이 구위로 상대를 잡았던 스타일의 투수가 맞지. 언더의 체감평속은 5km+니까 오버핸드로 따지면 150~155km의 포심하고 슬라이더.. 슬라이더도 엄청나게 휘는 구위로 찍어눌렀지

















에이. 말린스시절 구위가 현저히 떨어졌을 때가 직구 보통 140초반이었습니다. 환상을 경계한다고 있는것까지 깎아내려서야 됩니까. 그리고, 평속이란건 나쁠때 모습까지 모두 담고 있기에 사람들이 생각하는 수치보다 원래 낮게 나오기 마련입니다. 평속 144에 최고150초중반을 던지던 투수라면 보통때 146~7정도가 평속인 경우도 많았다고 봐야죠. 평속을 두고 '겨우겨우 던지던게 144정도'라는 식으로 말하시면 그게 오히려 과장이지요. //제 기억에도 애리조나시절엔 140후반대에 150도 넘나든걸로 기억합니다. 메이저 정통파 a급 투수도 보통 평속은 140후반대입니다. 언더니 더 대단하다고 봐야죠. 그 평속보다 조금 떨어진다 해도 말이죠















봐라 일딴 김병현이 던진공을정확하게 일본타자가 맞춘다는게 문제이다.
삼진 없이 타자를 상대 했다는거지. 그만큼 김병현을 공략하면 할 수록 김병현은 무너져 갈 것이다 김병현이 언더로 일본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건 아예 칠수 없는 슬라이더나 업슞이 부활 되어야 한다.














삼진을 잘잡는다는것-> 스펙으로 좋다 ->스펙무너지면 끝이다 맞춰잡기를 잘한다는것->마인드나 제구력등 벨런스가 좋다->노련미가있다->오래간다 ㅇㅋ?















원래 공이 더러워서 타자들이 제대로 못맞추기때문에 범타가 많이나오는게 언더인데 BK는 워낙 구위가 더러움을 넘어서서 맞추지도 못한거였고.. 시범경기에 이정도면 개막할때쯤엔 옛날 구위 돌아올만도하다














언더가 선발이 많이없는 이유는 공이 나오는 방향때문이다 맞춰잡고삼진잡고의 문제가 아니라 ㅡㅡ 공이 빤히 다보이는데 어떡하냐. 괜히 좌타자들한테 탈탈털리는게아니다














오버는 공이 묵직해서 맞춰서 잡는건 안심 되는데 언더는 워낙 공이 가벼워서 왠만하게 맞추면 안타가 되서 그런다 ㅡㅡ 이런드립 보다 처음보네... 애초에 오버가 묵직하다 언더가 묵직하다 그런거 없어 ㅡ;;; 절대 중요한것은 공의 속도이지 언더가 비교적 오버보다 구속이 낮으니 그런식으로 적으면 기본적으로 털리는데다가 본래글은.. 스스로무덤팠구만













김병현 최고구속 96마일이었다.

뭔 원래 구속이 빠르지 않았다고 드립은...ㅋ

그러나 나이를 먹고, 제구를 중시여기다보니 강속구의 빈도가 줄었을뿐이지..

부상도 있었고..

특히 선발로 뛰면서는 140대 중반이 거의 최고였지..약 90마일쯤?

카운셀 기사뜬 거 함 읽어봐라 사이드암이 95마일 뿌려서 놀랐다는 인터뷰 내용을..

월시때 재수가 더럽게도 없고도 없어서 막판에 털렸던 거지

결과가 아닌 내용을 보자면 나무랄게 없었던 상황이었는데..

그게 애를 빙1신 만들어놔서 그렇지..

암튼 프리즈비만으로 인정받던 선수는 아니었다..업슛이라 불리는 직구구속도 대단했다는..

여담이다만,

박찬호 최고구속은 100마일이었고..
류제국 최고구속은 99마일..
서재응 최고구속은 97마일이었다..
김선우도 95마일이상 뿌렸던 선수고..

다들 부상에 뭐다뭐다 해서 구속이 140대 중반으로 떨어진거지 ..ㅜㅜ

박사장님은 막판에 구속 좀 회복하셨지만..

암튼 그렇다고..

아..그립다 김병현..

강타자들 삼진으로 잡고 마운드에 착지하면서 반바퀴돌아서 주먹불끈쥐던 모습이 엊그제 같은데..















김병헌 최고구속 디벡스시절 양키즈랑 월드시리즈때 찍은 98마일 입니다! 96마일 찍고 바로 98 마일찍었구요 그경기 이후 팔꿈치에 이상이 생겼다고 인터뷰 했던 기억이 나네요!













구속 많이 올라왔네


시즌 초반까지 145는 나올태고
가면 갈수록 더 나올수도 있고
최대 150까지 나올지는 미지수...
하지만 3년공백이 있었는대
벌써 141에 실전 피칭에서 잘 막아낸건 매우 긍정적이구만
어쩌면 우리 병현이 형...
일내겠네














김병현은 26일 일본 오키나와현 차탄구장에서 열린 주니치와의 시범경기에 4번째 투수로 마운드에 올라 3명의 타자를 공 8개로 간단하게 처리했다. 직구는 최고 141km까지 나왔다.













김병현 구속


전성기때 155까지 나왔는데 141키로라니 개안습











개소리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k전성기(애리조나마무리시절)에도 구속은 90마일 중반대 거의 못넘었다 ㅋㅋㅋㅋㅋㅋ bk는 구위가쩔었던거닼




출처





🦋🐞전용홀더 채택으로😄😅"잔동작" 없이💕🚎맺고 끊음이 분명하여 🚠🚂 순식간에 책을 펼치는데 특화된 🛴🛵"노원도킹책갈피세트"⚽️🏀
posted by 공릉역가즈아~~